문제 <외벽 점검>
레스토랑을 운영하고 있는 "스카피"는 레스토랑 내부가 너무 낡아 친구들과 함께 직접 리모델링 하기로 했습니다. 레스토랑이 있는 곳은 스노우타운으로 매우 추운 지역이어서 내부 공사를 하는 도중에 주기적으로 외벽의 상태를 점검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레스토랑의 구조는 완전히 동그란 모양이고 외벽의 총 둘레는 n미터이며, 외벽의 몇몇 지점은 추위가 심할 경우 손상될 수도 있는 취약한 지점들이 있습니다. 따라서 내부 공사 도중에도 외벽의 취약 지점들이 손상되지 않았는 지, 주기적으로 친구들을 보내서 점검을 하기로 했습니다. 다만, 빠른 공사 진행을 위해 점검 시간을 1시간으로 제한했습니다. 친구들이 1시간 동안 이동할 수 있는 거리는 제각각이기 때문에, 최소한의 친구들을 투입해 취약 지점을 점검하고 나머지 친구들은 내부 공사를 돕도록 하려고 합니다. 편의 상 레스토랑의 정북 방향 지점을 0으로 나타내며, 취약 지점의 위치는 정북 방향 지점으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떨어진 거리로 나타냅니다. 또, 친구들은 출발 지점부터 시계, 혹은 반시계 방향으로 외벽을 따라서만 이동합니다.
외벽의 길이 n, 취약 지점의 위치가 담긴 배열 weak, 각 친구가 1시간 동안 이동할 수 있는 거리가 담긴 배열 dist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취약 지점을 점검하기 위해 보내야 하는 친구 수의 최소값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n은 1 이상 2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 weak의 길이는 1 이상 15 이하입니다.
- 서로 다른 두 취약점의 위치가 같은 경우는 주어지지 않습니다.
- 취약 지점의 위치는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주어집니다.
- weak의 원소는 0 이상 n - 1 이하인 정수입니다.
- dist의 길이는 1 이상 8 이하입니다.
- dist의 원소는 1 이상 1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 친구들을 모두 투입해도 취약 지점을 전부 점검할 수 없는 경우에는 -1을 return 해주세요.
입출력
- n = 12
- weak = [1, 5, 6, 10]
- dist = [1, 2, 3, 4]
- result = 2
- n = 12
- weak = [1, 3, 4, 9, 10]
- dist = [3, 5, 7]
- result = 1
풀이
- 문제를 처음 보고 시계 방향, 반시계 방향으로 나눠서 탐색해야겠다고 생각했지만 코드를 구현하려고 해보니 어려웠다.
- 친구들을 투입시키기 위한 순열은 구성했지만, 친구마다 시계 혹은 반시계 방향의 효율성을 각각 체크하여 진행하기에 무리가 있었다.
- 그래서 다른 사람의 풀이를 참고해보니 시계 반시계 방향을 나눠서 생각하지 않고 리스트를 2배로 늘려 한 줄로 만들어 문제를 해결했다!
- 리스트가 한 줄이기 때문에 단방향으로만 확인하면 돼서 코드를 보다 효율적으로 바꿀 수 있었다.
- 친구 각각의 이동할 수 있는 거리에 따라 점검한 위치를 갱신해주면, 취약 지점을 점검하기 위해 보내야 하는 친구 수의 최솟값을 구할 수 있었다.
from itertools import permutations
def solution(n, weak, dist):
l = len(weak)
for i in range(l): # 취약 지점 리스트를 2배 늘려 한 줄로 만들기
weak.append(weak[i] + n)
friends = list(permutations(dist, len(dist))) # 친구에 대한 순열
answer = len(dist) + 1
for w in range(l): # 탐색 시작 인덱스
for friend in friends:
cnt = 1 # 점검하는 친구 수
location = weak[w] + friend[cnt-1] # 현재 점검 위치
for i in range(w, w+l): # 점검해야 하는 취약 지점에 돌아가는 for 문
if weak[i] > location: # 취약 지점이 현재 점검 위치보다 크면
cnt += 1 # 친구 한 명 추가
if cnt > len(dist): # 친구가 더이상 없다면
break
location = weak[i] + friend[cnt-1] # 현재 점검 위치 갱신
answer = min(answer, cnt)
if answer > len(dist): # 친구들을 모두 투입해도 점검이 불가능할 때
return -1
return answer
- 이 문제는 주어진 데이터의 개수가 적어 완전 탐색으로 문제를 해결 가능했다.
- 원형으로 나열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데이터의 길이를 2배 늘려서 한 줄로 만들어주면 쉽게 해결 가능하다는 것을 알았다.
데이터의 개수가 적다면 완전 탐색을 고려해보자!
원형으로 주어진 데이터는 길이를 2배로 늘려 한 줄로 만들면 유리하다는 것을 알았다.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참고 블로그 :
[Implementation] 이코테 “외벽 점검” Python 풀이
문제 레스토랑을 운영하고 있는 스카피는 레스토랑 내부가 너무 낡아 친구들과 함게 직접 리모델링하기로 했습니다. 레스토랑이 있는 곳은 스노우타운으로 매운 추운 지역이어서 내부 공사를
wooono.tistory.com
'CS >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코테] DFS&BFS - 경쟁적 전염 (0) | 2023.03.04 |
---|---|
DFS & BFS (0) | 2023.03.03 |
[이코테] 구현 - 자물쇠와 열쇠 (0) | 2023.03.01 |
[이코테] 구현 - 기둥과 보 설치 (0) | 2023.02.28 |
[이코테] 구현 - 뱀 (0) | 2023.02.28 |